top of page
10.04_온라인-03.png
10.04_온라인-01.png
artist1.png

Exhibition Scenes

크게 들어가는 이미지.jpg

보이지 않는 것의 경계

​엄채윤 EOM CHAE YUN

2023-2024 pen on paper 21 x 29.7 cm (each)

대구예술대학교 곳곳의 풍경을 담은 볼펜 드로잉 연작으로서 사물 간의 관계처럼 뚜렷한 형태의 경계와 계절의 변화처럼 미묘한 형태의 경계, 그리고 그 경계 사이의 틈을 탐구하고 표현하고 있다. 사계절과 같은 끊임없는 변화의 흐름은 희미하더라도 분명히 어떤 경계를 만들어낸다. 이 경계는 명확한 선으로 구분되기보다는 점진적이고 유동적인 흐름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경계는 본 연작을 구성하는 작품 간의 점진적인 색상 변화로 표현되었다.
또한 각 작품은 볼펜으로 그려진 부분과 여백으로 나뉜 명확한 경계를 담고 있다. 이 경계를 통해 만들어진 공백은 사유의 장으로서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하고 그 너머의 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여백을 제공한다.
본 작품은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경계와 변화를 되돌아보게 하며 그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탐구하도록 이끌고자 한다. 또한 사물과 시간, 공간의 관계를 재조명하여 더 깊은 인식의 세계로 안내하기를 기대한다.

As a series of ballpoint pen drawings containing landscapes throughout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it explores and expresses a clear form of boundary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 subtle form of boundary like seasonal change, and a gap between the boundaries. The constant flow of change, such as the four seasons, clearly creates some boundary, even if it is faint. This boundary is perceived as a gradual and fluid flow rather than a clear line. This boundary was expressed as a gradual color change between the works constituting this series.

Additionally, each piece has a clear boundary divided between ballpoint pen parts and margins. The void created by this boundary provides a space for imagining the invisible as a field of thought and exploring the world beyond.

This work aims to lead us to reflect on the boundaries and changes we face in our daily lives and to explore new meanings in the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time, and space to become a deeper world of perception.

bottom of page